달빛 아래 우주 이야기 9

9편 : 앞으로 달에 살 수 있을까? 달 기지와 우주 거주 계획

🌙🚀 앞으로 달에 살 수 있을까?― 달 기지와 우주 거주 계획 밤하늘을 올려다보다 보면 가끔은 이런 상상을 하게 돼요.‘저기 달에도 사람이 살 수 있을까?’ 🤔우리의 마지막 달 여행지는 바로 그 상상 속으로 떠나는 이야기랍니다! 🌠🌒 달에서의 삶, 가능할까? 현재까지 인간이 달에 머무른 시간은 길어야 며칠.하지만 과학자들은 더 긴 시간, 나아가 **'달에서의 생활'**까지 꿈꾸고 있어요. 그 꿈은 단순한 상상이 아니라, 실제로 여러 나라와 우주 기관들이 계획하고 있는 미래랍니다! 🌎 우주 강국들의 달 기지 계획 🌑미국 NASA는 '아르테미스(Artemis)'라는 이름의 달 탐사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에요.2020년대를 시작으로, 2030년대에는 달의 남극 지역에 기지를 세우는 것이 목표예요. ..

8편 : 인류는 왜 달에 갔을까? – 아폴로 탐사의 이야기

🚶🏻‍♂️인류는 왜 달에 갔을까? – 아폴로 탐사의 이야기1969년 7월 20일, 인류는 처음으로 달에 발을 디뎠습니다.“이것은 한 인간에겐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다.”닐 암스트롱의 이 말은, 우주 개발 역사에 길이 남는 명언이 되었죠.그렇다면, 인류는 왜 굳이 달까지 갔을까요?🚀 달 탐사의 시작, 그리고 냉전 시대달 탐사는 단순한 호기심만으로 시작된 게 아니었습니다.당시 미국과 소련은 '우주 경쟁'이라는 치열한 냉전의 일환으로, 누가 더 먼저 우주에 진출하느냐를 놓고 경쟁했어요.소련은 먼저 스푸트니크 위성을 쏘아 올리고, 유리 가가린을 인류 최초의 우주인으로 우주에 보냈습니다.이후 미국은 뒤처진 이미지를 만회하고, 과학기술의 우위를 증명하기 위해 ‘아폴로 계획’을 세웠죠.🌔..

7편 : 달은 지구에 어떤 영향을 줄까?

🌕 달은 지구에 어떤 영향을 줄까?조수 간만의 차부터 생태계까지하늘에 떠 있는 조용한 달. 하지만 이 달은 지구에 조용하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어요. 바닷물의 흐름을 바꾸고, 생태계의 균형을 잡고, 심지어는 우리의 생체 리듬에도 영향을 준답니다.이번 여행에서는 달이 지구에 끼치는 영향들을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해요!🌊 조수 간만의 차 (밀물과 썰물)달이 지구에 주는 가장 대표적인 영향은 바로 조수 간만의 차, 즉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 현상입니다.이 현상은 달의 중력이 바닷물을 끌어당기면서 생기게 되죠.달이 지구의 특정 지역 위에 있을 때, 그 지역의 바닷물은 달 쪽으로 부풀어 올라 밀물이 되고, 반대편은 썰물이 됩니다.🔹 이 현상은 하루에 두 번의 밀물과 두 번의 썰물로 나타나며,🔹 달과 태양, ..

6편 : 달은 점점 멀어지고 있다? 지구와의 거리 변화

🌕 달은 점점 멀어지고 있다? 지구와의 거리 변화하늘에 떠 있는 달을 보면, 항상 비슷한 모습으로 같은 자리에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하지만 사실 달은 아주 느리지만 점점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달의 거리 변화와 그 원인, 그리고 지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달과 지구의 거리달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38만 4,000km입니다.이 거리는 지구 30개를 일렬로 세운 정도로, 꽤 멀지만 천문학적으로 보면 가까운 편에 속합니다.하지만 이 거리는 영원히 일정한 것이 아닙니다.🌌 달은 왜 멀어지고 있을까?달이 점점 멀어지고 있는 이유는 조석력(Tidal force) 때문입니다.조석력은 지구와 달 사이의 중력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며, 대표적..

5편 : 달에도 시간이 흐를까? 달의 하루는 얼마나 길까?

🌕 달에도 시간이 흐를까? 달의 하루는 얼마나 길까?우리가 매일 경험하는 하루 24시간. 하지만 달에서는 이 시간 개념이 다르게 느껴집니다. 지구와 달은 서로 다른 자전과 공전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달에서의 하루’는 지구의 하루와는 전혀 다른 시간 단위를 가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달에서의 하루 길이와 시간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달의 하루, 어떻게 계산할까?‘하루’는 보통 해가 뜨고 다시 해가 뜨기까지의 시간, 즉 **일주일(日周日)**을 의미합니다. 달에서도 이 정의를 적용해보면, 태양이 다시 같은 위치에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하루로 볼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달에서 해가 다시 뜨는 데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정답은 약 29.5일, 즉 지구 시간으로 약 한 달입니다!🌙 왜 이렇게 ..

4편 : 달에 있는 바다? '달의 바다'는 진짜 물일까?

🌑 달에 있는 바다? '달의 바다'는 진짜 물일까?“달의 바다”… 이름만 들으면,푸른 파도가 넘실대는 모습을 상상하게 되죠.그런데 정말로 달에 물로 가득한 바다가 있는 걸까요?이번 편에서는 ‘달의 바다(Maria, 마리아)’라는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알아봅니다!🌊 달의 바다는 물이 아니다!달에 있는 '바다'는 사실 진짜 바다가 아닙니다.지구처럼 액체 상태의 물이 있는 바다가 아니라,예전 화산 활동으로 생긴 평평하고 어두운 평원이에요.‘달의 바다’라는 이름은 과거 고대 천문학자들이 처음 달을 관측했을 때 붙인 것이에요.망원경이 없던 시절, 맨눈으로 봤을 때 달의 어두운 부분이지구의 바다처럼 보여서 그렇게 부르게 된 것이죠.🌋 달의 바다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수십억 년 전, 달에는 활발한 화산 활동이 ..

3편 : 달의 앞면과 뒷면, 왜 우리는 한쪽만 볼 수 있을까?

🌕 달의 앞면과 뒷면, 왜 우리는 한쪽만 볼 수 있을까?하늘을 올려다보면 언제나 우리 곁에 있는 듯한 달.그런데 이상하지 않나요?왜 우리는 달의 '한쪽 얼굴'만 보게 되는 걸까요?오늘은 이 신비로운 현상, 달의 앞면과 뒷면의 비밀에 대해 알아봅니다.🌙 언제나 같은 얼굴, 그 이유는?우리가 보는 달의 모습은 항상 똑같습니다.이는 달이 지구 주위를 돌면서 동시에 자전도 하기 때문인데요,이 현상을 **‘동주기 자전(Synchronous Rotation)’**이라고 해요.🌍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 약 27.3일🌕 달이 한 번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 역시 27.3일즉, 달은 지구를 도는 시간과 자전하는 시간이 같기 때문에늘 같은 면을 지구 쪽으로 향하게 됩니다.이로 인해 우리는 달의 *..

2편 : 달의 위상 변화, 왜 생기는 걸까?

달의 위상 변화, 왜 생기는 걸까?매일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달의 모습은 같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어요.어느 날은 얇은 초승달, 또 어떤 날은 커다란 보름달.달은 왜 이렇게 다양한 모양으로 보일까요?이 현상을 우리는 **‘달의 위상 변화’**라고 부릅니다.오늘은 이 신비로운 변화를 만들어내는 우주의 원리를 함께 살펴보아요!🌗 달의 위상이란?달의 위상이란, 지구에서 바라봤을 때 보이는 달의 밝은 부분을 말해요.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빛을 반사해서 우리 눈에 보이는데요,지구와 태양, 달의 위치에 따라 빛이 비치는 각도가 달라지면서 달의 모양이 변해 보이는 것이랍니다.🌌 달의 위상 변화 순서달의 위상은 약 29.5일을 주기로 순환해요. 이를 **삭망월(月)**이라고 부릅니다.🌀 달 위상의 순환삭..

1편 : 달은 어떻게 생겼을까?

달은 어떻게 생겼을까?밤하늘에 떠 있는 가장 친숙한 천체, 바로 '달'입니다.그저 하늘에 떠 있는 하얀 공처럼 보이지만, 달은 아주 오래전부터 수많은 과학자와 철학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해온 특별한 존재입니다.오늘은 우리가 매일 올려다보는 이 달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리고 그 안에는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달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달의 기원에 대해선 여러 가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이론은 '거대 충돌설'**입니다.약 45억 년 전, 지구가 막 형성되던 무렵, **'테이아(Theia)'**라는 화성 크기의 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면서 막대한 파편이 우주로 퍼져 나갔습니다.그 조각들이 지구 주변을 돌며 뭉쳐진 것이 바로 오늘날의 달이라고 알려져 있죠.과학자들은 이 충돌이 지구의 ..